본문 바로가기
게임박사

사이버펑크2077 속편, 나이트 시티 재방문과 '망가진 시카고' 스타일의 새 도시 등장 예고

by GDBS 2025. 5. 21.
728x90
반응형
728x170

 

🌆 돌아오는 나이트 시티, 그리고 또 하나의 도시

CD 프로젝트 레드(CD Projekt RED)의 인기 RPG 사이버펑크 2077(Cyberpunk 2077)의 후속작에 대한 새로운 단서가 공개되었습니다. 아직은 많은 것이 베일에 싸여 있지만, 사이버펑크 세계관의 창조자 마이크 폰드스미스(Mike Pondsmith)가 최근 행사에서 흥미로운 발언을 남겼습니다. 바로, 속편에서도 나이트 시티(Night City)를 다시 방문하게 되며, '망가진 시카고' 같은 새로운 도시를 탐험하게 될 것이라는 내용입니다.


🧠 제작진의 구성과 초기 개발 상황

현재 CD 프로젝트 레드는 위쳐 4(The Witcher 4) 개발에 전력을 쏟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펑크 2077의 속편은 시간이 더 걸릴 전망입니다. 그러나 한 가지 확실한 점은, '컨트롤(Control)'과 새로운 '페이블(Fable)' 시리즈에 참여한 안나 메길(Anna Megill)이 이번 작품의 수석 작가로 참여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앞으로의 이야기가 단순한 미래 도시의 액션 게임을 넘어서, 보다 철학적이고 심오한 주제를 다룰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 마이크 폰드스미스가 말하는 ‘또 다른 도시’

마이크 폰드스미스는 최근 폴란드에서 열린 디지털 드래곤즈 2025(Digital Dragons 2025) 행사에서 속편과 관련된 흥미로운 이야기를 전했습니다. 그는 현재 속편 제작에는 직접적으로 깊게 관여하지는 않지만, 게임의 스크립트를 검토하고 일부 부서와 논의하며 개발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

"다른 도시를 방문하게 됩니다. 더 이상은 말 못하겠지만, 분명히 또 다른 도시가 있어요. 나이트 시티도 여전히 존재하죠. 새로운 도시의 느낌은 ‘블레이드 러너’ 같지는 않았고, 오히려 ‘망가진 시카고’ 같았어요. 그걸 보고 ‘이거 정말 잘 작동하겠다’라고 생각했죠."

 

폰드스미스의 이 발언은, 단순히 새로운 맵을 보여주는 것을 넘어 분위기와 문화, 분위기가 전혀 다른 세계가 펼쳐질 것을 암시합니다.

반응형

🔁 나이트 시티의 재활용? 게임 디자인 전략

나이트 시티를 다시 사용하는 것에 대해 일부 팬은 우려할 수도 있지만, 게임 업계에서는 기존 맵 재사용이 서사적 도구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 젤다의 전설: 티어스 오브 더 킹덤은 이전 맵을 재활용하면서도 완전히 새로운 탐험 요소를 추가했습니다.
  • 야쿠자 시리즈 역시 수차례 같은 지역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그 안에서 캐릭터와 사건을 바꾸어 풍부한 내러티브를 쌓는 데 성공했습니다.

사이버펑크2077도 마찬가지로, 시간이 흐른 후의 나이트 시티를 보여주며 변화된 도시, 혹은 붕괴 또는 진화된 사회구조 등을 보여줄 수 있습니다.


⏳ 출시까지는 꽤 오랜 시간?

현재로서는 CD 프로젝트 레드가 위쳐 4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버펑크 2077 속편의 출시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팬들 사이에서는 최소 7년 후 출시라는 농담 섞인 추측도 있지만, 그만큼 장기적인 프로젝트로서의 준비가 철저히 이뤄질 것임을 시사하기도 합니다.


📌 정리하며: 기대되는 속편의 방향성

  • 속편에서도 나이트 시티는 그대로 존재하며, 변화된 모습으로 등장할 예정
  • 새로운 도시의 느낌은 '망가진 시카고', 즉 범죄와 기술이 공존하는 또 다른 디스토피아를 연상
  • CD 프로젝트 레드는 서사 중심의 게임 구조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예상
  • 수석 작가의 합류로 인해 기존보다 더욱 내러티브 중심의 몰입감 있는 이야기 전개 기대

 

 

[게임박사] 최고의 PC 사이버펑크 게임 BEST 14

 

[게임박사] 최고의 PC 사이버펑크 게임 BEST 14

혹시 PC에서 최고의 사이버펑크 게임을 찾고 계신가요? 네온 불빛과 신디웨이브 음악에서 정치적 논평과 신체 개조에 이르기까지 사이버펑크 태그가 있는 모든 것이 대중 문화에서 인기 있는 이

gdbs.tistory.com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