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태그플레이션의 원인과 해결책 - 경제의 암
물가는 오르지만 소득은 늘어나지 않는 악순환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은 경기침체를 뜻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말로,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경제 현상이야. 원유나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면 생산비용이 늘어나 제품 가격이 자동적으로 오르지만 기업의 이익은 늘어나지 않아. 그래서 직원들에게 월급을 올려주기가 어렵지. 가계에 돈이 없으니 소비를 줄이게 되고, 기업은 제품이 안 팔리니 더욱 어려워져서 도산하거나 경영을 축소하게 돼. 결국 해고자가 증가하고, 실업자가 늘어나게 돼.

명쾌한 해결 수단이 없어
스태그플레이션은 사람의 몸에 비유하자면 일종의 난치병이라 할 수 있지. 경기가 좋아 물가가 오를 때는 금리를 올리거나 정부의 재정지출을 줄이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반대로 경기가 좋지 않을 때는 금리를 내리거나 정부의 재정지출을 늘리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그러나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에서는 이를 해결할 명쾌한 수단이 없어. 침체된 경기를 살리기 위해 금리를 내리거나 재정지출을 늘리면 물가는 더욱 상승하기 때문이지.
스태그플레이션은 어떻게 이겨내야 할까?
스태그플레이션은 한마디로 경제의 암이라고 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을 말해. 대표적인 예로 1979년 제2차 석유파동 때 일어난 세계적인 스태그플레이션 상황을 이겨낸 미국과 영국이 있어. 당시 미국과 영국은 정부 지출을 줄이고 시장을 축소하는 강력한 긴축정책을 폈어. 기업들이 문을 닫고 실업자가 늘어나더라도 일단 물가를 잡아야 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지. 실행 직후에는 기업파산과 실업률이 2배로 늘어나며 큰 고통을 겪었지만, 결국 물가가 안정되면서 경제는 다시 회복되기 시작했어. 결국 미국과 영국은 더욱 튼튼한 경제구조를 갖게 되었어.
'만물박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박사의 지식백과] 에페 - 스포츠 용어(펜싱) (0) | 2021.07.30 |
---|---|
[권박사의 지식백과] 경제 - 우유 한잔에 1억? - 인플레이션 (0) | 2021.07.16 |
[권박사의 지식백과] NTF란? - 대체 불가 토큰, 디지털 원본 자산 (0) | 2021.07.15 |
[권박사의 지식백과] 키토베이킹이란? (0) | 2021.07.12 |
[권박사의 지식백과] 카니보어 다이어트란? (0) | 2021.07.12 |
댓글